Travel/Uzbekistan

[생활정보] 우즈베키스탄에서 핸드폰 사용하기

정개 2017. 4. 15. 23:44

몇 년 전의 블로그 글을 보면 외국인은 특정 회사의 유심칩만 살 수 있고 그마저도 본사에서 구입해야 했다고 써 있는데 지금은 그정도는 아니고 '거주등록을 한 외국인이라면' 어디서든 개통할 수 있는 것 같다. (확실하지는 않다.) 다만 거주등록을 한 여권으로 유심칩을 무제한 살 수 있는 것은 아니고 1인당(한 개의 여권당) 5개까지만 번호를 살 수 있다. 다만 이것이 한 회사당 5개를 말하는 것인지, 아니면 통신사 상관 없이 5개의 번호만 살 수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또 이런 제한이 있는게 외국인에게만 해당되는 것인지, 내국인도 이 제한이 있는지도 모르겠다.

코이카 단원들은 모두 입국하자마자 담당 코이네이터와 인턴의 도움으로 Beeline 유심칩을 구입하여 개통했다. 우즈베키스탄 통신사는 Beeline, Uzmobile, Ums, Ucell 등이 있는데 코이카 단원들은 모두 Beeline을 쓴다. 다른 나라처럼 누구나 손쉽게 유심을 살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보니 대부분 단원들은 특별한 사정이 있지 않는한 처음 만든 번호를 임기가 끝날 때까지 사용한다.

나는 Beeline과 UMS 번호를 사용한다. 핸드폰을 한국에서 2개를 들고 온 것도 아니고 듀얼심이 지원되는 핸드폰을 사용하는 것도 아닌데 두 개의 번호를 번갈아 가며 사용한다. Beeline 번호를 주로 사용하고 방과후 수업을 듣는 학생들과 연락할 일이 있을 땐 UMS 유심으로 갈아껴서 사용한다. 가끔 학생들에게 공지를 할 일이 있는데 출석부이 이름이 올라와있는 학생이 한 반에 적게는 25명 많게는 45명이나 된다. 방과후 세 반을 합치면 100명이 넘는데 Beeline으로 보내기에는 비용이 감당이 안 될 거 같아 상대적으로 통합 요금제가 저렴한 UMS 유심을 하나 더 산 것이다. (데이터 요금제는 UMS가 Beeline 보다 비싸다.)

​​​각각의 회사 꺼를 모두 써보고 비교 분석해보면 좋으련만, Beeline과 UMS 밖에 써보지 않았고 그마저도 UMS는 아직 쓴 지 한 달도 안 되서 정말 잘 모른다. 그래서 이 포스팅은 올려두고 계속 정보를 추가해야 할 거 같다.
​​​​
(1) Beeline
- Beeline의 장점 중에 하나는 '어플'이 있다는 것이다. 어플에서 잔액, 남은 데이터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새로운 요금제를 구입하는 것도 어플을 통해서 할 수 있다. 요금제가 새로 나올 때마다 종류와 가격을 바로바로 어플에서 확인할 수 있으니 합리적인 구매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우즈벡어와 러시아어로만 서비스가 제공되니 처음에 이용할 땐 구글 번역기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Beeline은 우즈베키스탄 뿐만 아니라 러시아, 카자흐스탄에도 있다. 그러니 어플을 다운 받을 때 uzbekistan이라고 써있는 어플을 다운 받도록.

- 어플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102# [통화]'를 누르면 잔액을 확인할 수 있고 '*103# [통화]'를 누르면 남은 인터넷 데이터량을 확인할 수 있다.

- 4G가 있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타슈켄트 시에 사는 사람들만 그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아마 다른 통신사도 똑같을 거라 생각한다. (만약 페르가나에서 4G를 지원하는 회사가 있다면 당장 번호를 바꿀 것이다.)

- 데이터 요금 가격 (2017.04 기준)
(3G)
60mb - $ 1.7 - *110*0*01#
260mb - $ 3.2 - *110*0*03#
600mb - $ 5.5 - *110*0*04#
1100mb - $ 7.5 - *110*0*05#
1600mb - $ 10 - *110*0*06#
3000mb - $ 13 - *110*0*07#
4600mb - $ 20 - *110*0*08#
6500mb - $ 27 - *110*0*09#
10000mb - $ 33 - *110*0*15#

(4G)
15000mb - $ 40 - *110*0*27#
30000mb - $ 50
60000mb - $ 60

(2) UMS
- 가장 통화품질이 좋고 인터넷도 잘 되나 요금도 가장 비싼편이다. 코이카가 아닌 다른 목적으로 우즈베키스탄에 온 한국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통신사이기도 하다.

- 데이터 요금 가격 (2017.03 기준)
300mb - $5 - *171*019*1*000050376#
500mb - $7 - *171*019*7*000050376#
1000mb - $10 - *171*019*2*000050376#
2000mb - $18 - *171*019*5*000050376#
3000mb - $25 - *171*019*3*000050376#
5000mb - $35 - *171*019*4*000050376#
10000mb - $55 - *171*019*6*000050376#

특이하게도 UMS는 밤(00:00~08:00)에만 쓸 수 있는 야간 인터넷 요금제도 제공한다.


- 4G는 역시나 타슈켄트 시 가입자만 쓸 수 있다고 한다. 다만 Beeline처럼 4G 요금제가 별도로 있는 건 아닌 듯하다.

- 또한 UMS는 다양한 문자, 통화, 데이터 통합 요금제를 가지고 있다. 매달 1일을 기준으로

777 요금제